[23.07.02] 새로운 요나단

 [23.07.02] 새로운 요나단/삼상18:1-5/송영의목사


약사인 영국시인의 시를 평단에서 부정적인 평을 함.그 시인이 폐결핵으로 죽고나서도 다시 악평함 27년후 긍정적인 평이 나오자 다시 ‘죽은 개로 만든 요리’라는 악평이 나왔는데 그 시인이 바로 존 키츠(John Keats;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퍼시 비시 셸리, 조지 고든 바이런과 함께 18세기 영국 낭만주의 전성기의 3대 시인. 폐결핵으로 25세에 요절)


반면 다윗은 요나단으로부터 정서적 지지를 받음


다윗이 골리앗을 물리친 뒤 요나단이 다윗을 인정해주고 앞길을 열어줌.땅을 흔드는 믿음의 주인공인 요나단을 백성이 사랑함. 이 요나단의 마음이 다윗의 마음과 하나가 됨.


[삼상20:17] 다윗에 대한 요나단의 사랑이 그를 다시 맹세하게 하였으니 이는 자기 생명을 사랑함 같이 그를 사랑함이었더라


요나단은 친구를 위해 목숨을 내어놓는 사랑으로 진실된 마음을 발전시켜 언약(피로 맺는 약속)을 맺어 진실로 하나가 됨. 요나단은 겉옷(군복:지위,신분을 상징:왕위계승의 의미),칼,활을 다윗에게 줌

-왕세자의 인정으로 백성,신하,왕까지 다윗을 신뢰


[삼상23:17] 곧 요나단이 그에게 이르기를 두려워하지 말라 내 아버지 사울의 손이 네게 미치지 못할 것이요 너는 이스라엘 왕이 되고 나는 네 다음이 될 것을 내 아버지 사울도 안다 하니라

-흠이 있어도 무조건적인 요나단의 다윗에 대한 사랑.이 사랑이 결국 성군을 만듦.


예수님이 우리에게 하신 것도 이와 같음

의의 옷을 우리에게 입히시고 죄인의 옷을 입으시고 결국 십자가에서 돌아가시면서 사랑을 부어주심. 

교회에도 요나단이 필요함.요나단 정신을 다시 새길필요있음.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친척의 주선으로 구필 화랑(Goupil & Cie)이라는, 당시 국제적으로 지부망을 갖춘 화랑의 헤이그 지사에 16세에 입사후 런던지사 파견당시 그는 책을 즐겨 읽었는데, 그의 일생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세 권의 책이 있다.존 번연의 '천로역정, 토마스 아켐피스의 '그리스도를 본받아', 르낭의 '예수전'이다.모두 복음주의 책으로 이때 신학을 하기로 하여 전도사로 사역하게 된 청년은 1876.10월 29일 첫설교를 하였고 그가 좋아한 찬송은 “주예수 크신 사랑 늘 말해주시오(Tell Me the Old, Old Story)”였으나 네덜란드와 국경인 벨기에 탄광지대 보리나주(Borinage) 광산에서의 헌신적인 사역이 교회지도부에 비판적으로 여겨져 목회의 길이 좌절된다.동료목회자의 버림받고나서 1879년 목회를 그만두고 화구상으로 다시 돌아간 반고흐

-교단이 마련해준 집을 포기하고 광부 마을의 헛간 같은 데로 숙소로 옮기고, 음식과 옷을 나눠주고 광부들 처럼 목욕도 않고 산다. 빈센트의 보리나주 시절 초기에 광부들은 빈센트를 존경했으나 차차 광인으로 손가락질을 하게 되었다.1879년 7월 말, 빈센트는 전도사에서 해임되었다. 보리나주를 찾은 전도단이 형편없는 고행자의 모습을 한 빈센트를 보고 놀란 결과였다. 


1870~1889년 총회보고서는 빈센트 반 고흐를 이렇게 평가하였다.

"반 고흐는 병자와 부상자를 돌보는 일에서 매우 훌륭한 자질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도움이 필요 한 사 람들을 위해 잠자는 것을 희생하고 자신의 가장 좋 은 옷을 모두 기부함으로써 헌신과 자기부정의 증거 를 반복적으로 보여주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회중을 이끌 지도자에게 없어서는 안 될 말씀의 은사가 부족합니다. 만일 그 점만 보완된다면 그는 분명 훌륭한 전도자가 되었을 것입니다."(Farrell,p.78)




부친 테오도로수 반 고흐(Theodorus van Gogh, 1822-85)가 소천한 그 해  반고흐 의 <성경이 있는 정물(Still Life with Bible )>(1885)은 이사야53장이 펴진 성경, 불 꺼진 양초, 에밀졸라의 소설<삶의 기쁨(La Joe de vivre: 빈센트는 1883년 발표한 '삶의 기쁨'을 읽고 또 읽어 헤어질 정도였음)>를 그린 그림

-이사야 53장 3-5절은 그리스도가 희생양으로서 겪을 수난을 예고한다. “그는 멸시를 받아 사람들에게 버림받았으며 간고를 많이 겪었으며 질고를 아는 자라 … 그는 실로 우리의 질고를 지고 우리의 슬픔을 당하였거늘 우리는 생각하기를 그는 징벌을 받아 하나님께 맞으며 고난을 당한다 하였노라”.


고흐가 그린 성경이 이사야 53장이었다는 점 그리고 에밀 졸라의 <삶의 기쁨>이 이사야서에 나오는 고난의 종의 모습을 현대식으로 그렸다는 점에서 그의 고뇌를 유추할 수 있음


하나님께서 새로운 요나단을 간절히 기다리고 계심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17/01/22] 가족이냐 원수냐

[20.08.16]믿음의 분량대로 생각하라

[20.12.06]말세에 믿음을 보겠느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