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6.03] 가르고 또 가르려면

[18.06.03] 가르고 가르려면 / 왕하 2:6-14 / 송영의 목사

기준이 다른데 다른 것을 모르면 혼란이 있기마련
-98.12 NASA 화성탐사선의 궤도 진입로 폭파한 사건 미터법으로 보고해야 하는데 피트로 보고해 혼란이 생기게 것임
-1999.4 중국에서 국내 화물선이 사고가 발생한 것은 피트로 보고했는데 중국에서는 미터법으로 교신하여 너무 낮은 고도로 날다가 추락한 사건

, 기준이 서로 다르면 초대형 참사가 벌어짐. 평소에 익숙하게 사용하던 것이라도 방심하면 안됨. 영적인 일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함
사건은 같아도 다른 방법으로 일하시는 하나님임을 점검하여 적용하지 않으면 참사가 일어나. 칭찬받지 못하도 책망받을 수도 있음.

1.하나님께서 비슷한 사건에 다양한 방법으로 해결하심
A.죽은사람 살리신 사건
1)엘리야-세번 껴안고 간절히 기도한 살아남.
2)엘리사-제자에게 자기 지팡이를 전달하여 죽은 아이위에 지팡이를 올리고 후에 직접방문하여 간절히 기도하고 위에 엎드린 이를 반복하여 껴안자 기침을 하고 살아남
3)엘리사가 죽은 동굴무덤에 있는데 엘리사 무덤에 방치된 시체가 엘리사의 뼈에 닿아 살아남. 4)신약에서 예수님이 달리다굼을 외치셔서 살아남
5)과부의 아들을 살리실때는 관에 손을 데셔서 살리심.
6) 나사로를 살리실때는 입구 돌을 옮기길 명하고 하나님께 감사기도 올리시고 나사로에게 나오기를 명하시자 나사로가 나옴.  
7)베드로가 사람을 살린 경우-다비다야 일어나라 명하고 손을 내밀어 일으킴
8)바울이 살린 경우-추락사한 청년 위에 엎드려서 살아남
, 동일한 방법이 없고 방법이 모두 새로운 방법으로 행함. 사람살리는 공식은 없었음. 다양한 방법으로 일하시는 하나님.발전적인 방법을 사용하심
B.물가르는 사건
 1)홍해: 지팡이로 홍해를 가리키자 홍해가 갈라지며 마른땅이
2)여호수아가 요단강을 가른 사건-제사장이 법궤를 메고 먼저 들어가서 발을 먼저 대면 강이 갈라진다고 . 흘러가버린 곳에 물벽이 생기지 않음. 요단강은 3 갈라짐
3) 왕하 2:6-14.엘리야가 겉옷으로 강물을 치니 물이 부분적으로 갈라짐. 창조적인 믿음의 사례. 회오리바람을 타고 하늘로 올라감
4)엘리아의 겉옷을 받아 엘리사도 강을 건넘. 하나님이 지시하지 않으신 것이 차이. 물갈라지는 사건을 보면 믿음을 요구하시고 선물로 주심. 신앙생활에서 지난번 했던대로 하면 안된다는 것을 보여주심

C.반석에서 물내는 사건
1)모세가 반석을 지팡이로 치니 물이 나옴 
2)반석에게 명령해서 물을 내라고 명하라 하심. 하나님은 방법을 바꾸셨지만 모세는 전과 동일한 방법으로 해결하려 하여 가나안 입성을 못하게 . 타성에 젖으면 어떻게 되는 것임을 보여주심

한편, 기업은 살아남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 이를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음

1)짐콜린스 1994   <성공하는 기업의 8가지 습관> 에서의 요지;시간을 알려주지말고 시계를 만들어주라. 중요한 습관 8개를 정리함 
2)2001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에서의 요지- 좋은 것은 위대한 것의 , 원수임.차선은 최선의 적임. 변화시켜야되는 것은 확실히 변화시킬것을 촉구함
3)2009 <위대한 기업은 어디로 갔을까> 라는 책에서 서브프라임모기지 사건으로 위대한 기업도 몰락할 있다는 것을 보여줌
모세도 한번의 불순종으로 몰락함.  

책에서 몰락의 5단계를 제시 내용
1)자만심-교만 2)욕심 3)위험 가능성 부정-방심 4)위기발생. 해결책 찾기 5)몰락- 모토롤라, 코닥

, 교만, 지나친욕심, 방심할때 타성에 젖어 몰락의 원인을 제공함. 신앙의 문제도 마찬가지
-챌린지 발사 73초만에 폭발하여 7명이 전원사망한것은 고무패킹하나가 불량으로 연료누출로 인한 폭발이 된것임. 패킹책임자가 발사연기를 건의했으나 이를 묵살하여 사고가 것임.

- 콜럼비아호 폭발사건: 단열재 탈락으로 기체에 부딪치는 일을 무시했는데 귀환시 대기권진입시 폭발이 발생하게 것임. 가장 완벽한 우주선임을 믿다가 사고가 것임. 이는 타성 때문임. 교만, 욕심, 방심을 체크하고 돌아봐서 타성에 젖지 않도록 노력해야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17/01/22] 가족이냐 원수냐

[20.08.16]믿음의 분량대로 생각하라

[20.12.06]말세에 믿음을 보겠느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