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8.19] 하나님의 기업

[18.08.19] 하나님의 기업/ 민수기34:1-15/송영의 목사

첼리스트 모리스 장드롱(Maurice Gendron) 비결은 날마다 바흐 무반주 첼로 조곡 전곡을 연습한 데에 기인함. 이렇게 된 것은 장드롱이 피카소를 만나서 더욱 연습에 매진하게 되었던 것임. 하루는 장드롱이 피카소를 만나 그림을 청한 10년뒤에 그림을 받게되며 다음과 같은 피카소의 이야기를 듣게됨. , 피카소는첼로를 그려달라는 말씀을 듣고 10년간 연습해서 이제 그림을 전한다 말한 것에 감동을 하였고 연습에 매진하게 된 동기가 것임

크고 대단한 일은 손쉽게 이뤄지지 않은 것임

이스라엘은 노예가 주인이 되는 격동의 현장에 처하게 . 가나안을 얻게 될때 겪는 과정 3가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음.

1.<작은 승리> 체험
-부모세대는 종살이 세대. 전쟁기회 승리의 기회가 전무하여 전쟁에 부정적이었음. 가데스 바니아에서 전쟁을 거부하여 광야를 방황하다 죽게 것임. 따라서 시대가 가나안땅에 들어가게 것임. 작은 전쟁의 승리체험을 받은 세대가 결국 가나안 입성한 것임

안나카레니나법칙; 톨스토이의 소설 <안나카레니나>의 첫문장에서 유래했다.

“행복한 가정은 모두 모습이 비슷하고, 불행한 가정은 모두 제각각의 불행을 안고 있다(Happy families are all alike; every unhappy family is unhappy in its own way.)”

총균쇠 작가인 재러드 다이아몬드(Jared Mason Diamond) 발표한  법칙은 -“성공의 이유는 한 요소가 아니라 수많은 실패원인을 피한
 가축에 비유하면, 가축화된 포유동물은 14-식성이 좋고 행동반경이 좁고 성격이 유순한 동물만 가축화된 것임

만병통치약 같은 하나의 비법은 없음. 실패의 원인을 비켜가야 하는 것임. 한가지만 부족해도 성공을 기대할 수는 없음. 장점을 개발하지만 약점을 찾아서 보완하는 것도 병행해야 한다고 역설함

부모세대의 치명적 약점 없애기 위해 요단 동쪽으로 돌리고 다음세대의 작은 승리를 맛보게 하여  '나도 할 수 있음' 을 체득하게 하심

이기는 습관이 필요함. 작은 습관이 것을 만들어 주기 마련임. 돌아갔기 때문에 작은 전투를 했고 거기서 승리해서 담대함이 생겨나 가나안땅에 들어가게 것임

2.들어가기 전에 <바라보기>
- 40 광야생활을 마칠 무렵 모세에게 주신 말씀이 오늘 본문 말씀-가나안땅의 경계를 알려주심. 분배자도 임명해 주심. 전쟁하기전 강건너서 쳐다볼때 이런 명령을 주신 것임. 이스라엘 백성에 있는 노예근성(시키는 것만 하기)때문에 사명을 잊어버리는 것이 부모의 세대임. 따라서 다음세대에 마음속에 가나안땅을 심어주신 것임. 마치 그 땅이 이미 자기의 땅이 것처럼 꿈과 비전과 기도로 그땅을 바라보게

3.가나안땅 들어가서 순종하게
 천국은 살면서 소유하는 곳임. 들어가야만 얻을 있는 것이고 순종하는 만큼만 얻을 있는 땅임. 위에서 지정한 땅을 소유하는 것은 역사중에 10년임-불순종에 기인한 것임. 땅의 특징으로 생각만큼 넓지 않음(경북 넓이) 땅이 좁은 대신 젖과 꿀이 흐르는 . 순종할 수록 젖과 꿀이 흐르는 땅으로 만들어 주시려던 것임

그리스도인에게 안식일을 주신 이유는
안식하는 동안에 낫을 연마하라는 의미임. 가나안땅도 이러한 순종하는 만큼 젖과 꿀이 흐르게

하나님이 주신 가나안 땅은 3면이 막혀있음. 하나님의 명령을 넘어가지 말고 순종하라는 것임. 하나님의 뜻대로 하라는 의미임. 사막과 바다(장애물) 있어 막혀야 시키시는 대로 순종할 있는 것임

흙수저는 아무것도 없나? 흙수저가 하나님을 의지하고 순종하게 만들어주는 감사의 제목이 되어야 . 가나안은 순종하는 만큼 얻을 있을을 기억해야

1.작은 승리
2.작은꿈과 비전
3.작은 순종
3요소

작은 의미를 살펴봐야 함. 

한편, 바보와 천재를 구분하는 비결은?
-바보는 같은 실수(습관) 되풀이 하나 천재는 새로운 실수를 한다는 것이 차이

김연아 주치의 조성연은 '꿈에 걸맞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 흘려 습관을 만들어내는 사람만 살아남는 다고 전함. 습관을 길들이면 끝에는 자기를 구해주게 . 한편 실수를 반복하는 것도 습관임.

안나카레니나 법칙에서 볼때 치명적인 습관이 나를 무너뜨리는 것임. 작은 행동, 작은 마음가지에서 습관이 형성되는 것임

1920년대 여행봉사회 손실통제회 하인리히(Heinrich)는 75,000 사고를 보고 하인리히 법칙(Heinrich's law)을 발표함

재해 1건은 작은 재해 29건과 사소한 사건 300건이 이전에 선행된 것임
<1:29:300 법칙>
<깨진 유리창의 법칙( Broken Window Theory)> 번역가(김민주)는 ‘ 하인리히 법칙’을 제안함. 사소한 좋은 일이 좋은일을 만들어 낸다고 주장함

<역하인리히법칙> 신앙에의 적용점
승리하는 분위기 300-기도300
적은 승리 29건을 거치면 -작은순종 29 거쳐
내가 원하는 승리 1건을 만나게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17/01/22] 가족이냐 원수냐

[20.08.16]믿음의 분량대로 생각하라

[20.12.06]말세에 믿음을 보겠느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