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1.01] 마태효과를 경험하자

[18.1.1] 마태효과를 경험하자 / 마25:14-30 / 송영의 목사

무릇 있는 자는 받아 풍족하게 되고 없는 자는 그 있는 것까지 빼앗기리라
— 마태복음 25장 29절
Matthew effect of accumulated advantage,


시칠리아섬 2200년 전 도시국가: 시라쿠사 (성경에서는 수라쿠사 라고 전함)에서 수학자 아르키메데스는 국왕앞에 가서 지렛대의 원리를 설명하며 지구를 들어올릴것이라 장담함. 새롭게 건조한 배를 혼자힘으로 입수시킬것을 시킴. 아르키메데스는 줄을 당겨 백명이 움직여야 움직일 배를 움직이게 함. 지렛대와 도르래를 이용하여 배를 움직인 것임.
말콤글래드웰은 성공의 공식을 뒤집음. 성공한 사람들은 대단한 것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함.

본문에서는 14절에서 종들에게 재산을 맡김
다섯 달란트. 두달란트 받은 사람은 장사를 해서 그만큼 남기고 착하고 충성된 종이라는 칭찬과 축복을 받음. 한달란트 받은 사람은 고민하던중 땅에 묻어 놓음. 한달란트 받은 사람은 이자라도 받아오는 것이 합당한것이 아니냐고 비판을 받음. 주인은 한달란트를 그에게서 빼앗아 다섯달란트 남긴이 에게 ‘ 주라’ 고 함. 다섯달란트 맡겨진 종은 총 11달란트를 갖게된 것임. 열한달란트 재산으로 시작, 두달란트 맡은 종은 네달란트 자산으로 시작. 한달란트 맡은 종은 무일푼으로 시작. 돈은 복리효과를 내면서 엄청난 차이를 냄 마25:29’무릇 있는 자는 받아 풍족하게 되고 없는 자는 그 있는 것까지 빼앗기리라.

‘파레토법칙’: 어느나라든지10% 인구는 전체 65%의 재산을 가짐. 인구의 5%가 전체 재산의 절반을 가짐. 2차대전 마치면서 더 엄청난 변화를 가지게 됨. 미국의 3대부호의 자산의 합은 전세계 43개 국 GNP 합보다 더 큼. 이는 ‘승자독식’을 증명함.
2등은 없고 오직 1등만 있다. 스포츠에서도 금메달만 기억되기마련. 2인자는 조금 모자라 실패한 사람 으로 기억되기마련

사회학자 로버트케이멀톤(Robert K. Merton)은 이를 마태효과(Matthew effect of accumulated advantage)라고 함. 강점이 쌓여 기회를 더 많이 가져 더 성공한다는 법칙.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가 아니고 성공이 성공의 어머니라는 의미. “ 개천에서 욕나는 시대”임. 체제가 갖춰진 시대에서는 개천에서는 용이 안남.

“이기는 습관.”
성공: 내가 열심히 일해 경과를 이룸.
형통: 하나님께서 결과를 이뤄주심.

마25:29- 마태효과

성공하려면 유명해져야
유명해지려면
1)돈을 많이 벌든가
2)최대한 빨리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되는 것
유명해지면 마태효과를 누림

<성공을 형통으로 바꾸는 방법 3가지>
1. 자기장점을 파악하여 집중해야
-나무통법칙: 물은 나무통의 짧은 길이만큼 담김~단점보완
-드러커 법칙: 장점을 찾아 개발하면 단점이 보완됨~장점강조
*용꼬리와 닭머리: 마태효과를 잘 살펴보면 닭머리에게 기회가 더 주어짐. 이후 닭이 다른 것으로 변화될 수 있음.

5달란트 받은 종이 바로가서 장사 한 것은 준비가 되었기 때문. 이는 평소에 자신의 장점을 알아서 집중했기때문. 정보를 찾을때도 파레토법칙이 통함.(잘 팔리는 책 10권을 살피다 집중적으로 읽다보면 전문가가 됨. 중요한것은 각 장의 맨 처음이나 끝에 나옴)

2.남보다 앞서나가야. 남보다 반걸음만. 오라클의 경영이념- ‘영원히 반보 앞서나가기’ 남보다 먼저 나가서 기회를 붙잡아서 원하는 것 이루기. 먼저 전문가가된 사람은 2등과 거리를 유지할 수 있음

3. 1)2)를 습관으로 만들어야. 21일 후면 습관이 됨. 3주보다 더, 하루에 10시간 3년 투자하여 만시간의 법칙을 채우면 전문가가 됨.

“내가 잘할 수 있는 것 찾고
반보 앞서고
습관만들기”

“보라 나중된 자로서 먼저 될 자고 있고 먼저 된 자로서 나중될 자도 있느니라”(눅13:30)

실패와 실패를 거듭하던 커널 샌더슨(Colonel Sanders)이 어느날 자신에게 사회보장금 나온 것을 보고 그 105달러로 새로 사업을 시작하여 74살에 KFC를 창업함.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17/01/22] 가족이냐 원수냐

[20.08.16]믿음의 분량대로 생각하라

[20.12.06]말세에 믿음을 보겠느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