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7.08]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음

[18.07.08]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음 / 딤후 1:13/ 송영의 목사

세옹지마의 고사 의의- 변화는 끝이 없고 깊이는 예측할 없도록 복과 화가 섞여
세옹지마는 기독교적인가
고대 그리스 철학자의 모습(에피쿠로스-우연히 만들어진 세상에서 쾌락주의(육체의 고통이 없는 평안한 상태) 추구;스토아학파-세상의 모든 것은 숙명으로 이뤄졌으므로 삶의 목표는 없이 냉정심을 유지를 목표로 금욕주의를 표방함
세옹지마는 두가지 학파의 의미를 모두 갖고 있음.
우리에게 어려움이 생길때 숙명으로 생각하고 마음의 평정을 유지하는 것은 스토아학파의 삶이나 복음적인 삶이 아님
바울은 딤후 1:3-4에서 감사와 기쁨을 기독교인의 삶으로 제시함. 이것이 복음이 우리에게 명령하는 삶이며 딤후1:12절에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예수님께서 내게 의탁하신 것은; 복음을 예수님께서 친히 마지막날 까지 보호해 주시리라는 믿음
: “고난에도 불구하고 부끄러워 하지 않는 것은 주님께서 의탁하신 것을 능히 보호하실 것을 확신하기 때문입니다.” 라고 고백함
5 에서는 하나님의 영광을 바라고 즐거워 .

바울의 고난중에서도 기뻐하고 즐거워 함을 나타냄. 환란에도 불구하고 기뻐하고 즐거워 하는 것이 바로 성경적인 삶임

배경) 디모데는 바울사도가 죄없이 처형을 기다려 낙심케되자 이에 디모데에게 편지를 보내 위와 같이 권면함. “너도 나와 함께 기뻐해라” 

교회다녀도 고난가운데 있기 마련이며 시련과 고통이 달려오기마련 . 그런 세상에서 신자들도 고난을 당하나 고난을 겪어내는 것이 숙제이며 또한 고난중에 감사하고 즐거워하는 것을 숙제로 받은 것임

디모데는 소극적, 내성적, 비관적인 사람인데 이는 개인의 성향,개성때문이 아님. 것이우리의 삶을 결정하는 요소가 되지 못함. 한편, 바울도 두려워하고 떠는 내성적이며 부정적이며 비관적인 사람이었음(고전2:3)(고후7:5) 

바울과 디모데가 성향은 같으나 정반대의 삶을 살게된것은 바울은그럼에도 불구하고 은혜를 받았기 때문.

기뻐하라 디모데 후서의 주제임
그럼에도 불구하고의 은혜 때문에 바울은 변화된 삶을 살게
능력과 사랑과 절제하는 마음(;;성령) 받았기때문에 고난을 부끄러워하지 않음(딤후1:7-8)

복음은 차별없이 구원의 능력을 준다
위대한 일꾼이 비결은 복음의 능력
표적과 기사의 능력의 원인은 복음의 능력
복음이 능력과 성령과 확신이 것이라

원래의 본성을 극복한 바울을 데살로니카 교인들이 증언함
복음은 신자를 변화시키는 능력을 가짐. 복음의 반응이 신자의 능력임
오직 하나님의 능력을 따라 복음과 함께 고난을 받으라(딤후 1:8) ; 고난과 능력은 세트로 움직임

우연히 생긴 것으로 위로하는 . 숙명적인 고난으로 생각하고 이겨내려하는 양자모두 복음적인 삶이 아님
고난에도 불구하고기뻐하며 사는 . 곤궁중에서도 복음을 전하게 해달라고 기도하고 기쁘게 찬양하여 은총을 받음
오직 예수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만고난에도 불구하고 삶을 있음

19세기 미국, spafford 부인과 자녀가 배로 대서양을 가로질러 유럽여행을 가는 길에 파선을 당하여 4명이 익사하고 아내만 생존케 . 같은날 전재산이 있던 은행이 파산하여 빈털털이가 되며 네딸을 잃게 것임. 소식에 통곡한 글을 남김. 강같은 평화가 내게 임하든지 주님은 내게 이렇게 말하라고 가르치셨습니다. “ 영혼은 평안해” 
, 찬송가 413< 평생에 가는 > 남긴것임

그래서
그러므로 아닌 
복음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기억해야 것은
복음은 자동적으로 능력을 주는 것이 아님


믿음과 사랑으로써 복음을 본받아 따라 살며 복음을 보호하여 나의 복음을 아무도 훔쳐가지 않게 하며 복음을 순종함으로 바울처럼고난에도 불구한삶을 살아야 .(딤후1:13)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17/01/22] 가족이냐 원수냐

[20.08.16]믿음의 분량대로 생각하라

[20.12.06]말세에 믿음을 보겠느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