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9.11] 나 같은 사람도 은혜
[22.09.11] 마 20:29-34/ 나 같은 사람도 은혜/송영의 목사
[전제]
말 버릇은 부지불식간에 다른사람에 영향을 미침. 마태사도도 고유한 말버릇이 있음(돈. 숫자2)
1.돈에 관심이 많은 말 버릇(마태복음 특징)
:세리의 특징이 반영, (금액. 부자. 큰 액수)
-동방박사의 값비싼 선물(희생)
-물고기입에서 나오는 한세겔, 반세겔
-일만달란트 빚진자의 비유
-포도원 품꾼비유 일당 한 데나리온
-가룟유다의 은 30
-“부자” 아리마데 요셉 이라 소개
-달란트비유/cf.누가 복음의 므나비유 에 비해 60배 큰 액수
(성경은 부자에도 가난한 사람에게도 관심/마태와 누가의 차이)
[딤전6:10] 돈을 사랑함이 일만 악의 뿌리가 되나니 이것을 탐내는 자들은 미혹을 받아 믿음에서 떠나 많은 근심으로써자기를 찔렀도다
-돈이 악이 아니라 “돈을 사랑함”이 악임.
-돈 자체는 성경에서 가치중립적이며 경제활동을 존중함.
-데살로니카, 에베소서에서도 경제활동을 장려함. 구제를 위해 쓰임받으라고 함
-돈을 귀하게 여기되 돈을 사랑하지 말라는 교훈을 같이 가르침.
2.숫자에 관심이 많음/ 좋아하는 숫자 2
-그라사 광인사건
[마8:28] 또 예수께서 건너편 가다라 지방에 가시매 귀신 들린 자 둘이 무덤 사이에서 나와 예수를 만나니 그들은 몹시사나워 아무도 그 길로 지나갈 수 없을 지경이더라
cf)마태복음은 귀신들린자 2명, 다른 성경에서는 미친사람 하나 라고 기록
[마26:60] 거짓 증인이 많이 왔으나 얻지 못하더니 후에 두 사람이 와서
[마21:2] 이르시되 너희는 맞은편 마을로 가라 그리하면 곧 매인 나귀와 나귀 새끼가 함께 있는 것을 보리니 풀어 내게로끌고 오라
-[슥9:9] 시온의 딸아 크게 기뻐할지어다 예루살렘의 딸아 즐거이 부를지어다 보라 네 왕이 네게 임하시나니 그는 공의로우시며 구원을 베푸시며 겸손하여서 나귀를 타시나니 나귀의 작은 것 곧 나귀 새끼니라
:예언말씀 성취를 위해 두마리중 새끼를 타심.
[마태가 2에 관심이 있는 이유는?]
<참고>
사도 언급 순서: 형제, 절친끼리 그룹
베드로 안드레
야고보 요한
빌립과 바들로메
도마와 마태 : 도마(Thomas)는 둘,쌍둥이 라는 의미(도마의 다른 이름인 디두모는 아람어로 ‘쌍둥이’를 뜻함),마태:선물의 의미.즉, 도마와 마태가 쌍둥이 형제 아닐까? 마가복음, 누가복음은 마태가 먼저나오니 마태가 형인것으로 추측. 마태에서는 자기을 낮추기위해 부정적인 의미인 세리 라는 말을 이름 앞에 붙임.먼저 믿은 도마의 영향으로 예수를 따르게됨. 마태복음에서 도마와 마태 로 소개. 마태는 쌍둥이라 숫자 2에 관심이 큰 것임
<맹인 2명의 고침받음 2case>
[마20:30] 맹인 두 사람이 길 가에 앉았다가 예수께서 지나가신다 함을 듣고 소리 질러 이르되 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다윗의 자손이여 하니
-두맹인 모두 예수를 믿어 제자가 됨
-유명하지 않은 다른맹인에게도 관심이 있었기 때문에 맹인2명이라고 표기.후에 유명하게된 맹인은바디메오 이나 이를굳이 밝히지 않음.
cf장소: 여리고
[마9:27] 예수께서 거기에서 떠나가실새 두 맹인이 따라오며 소리 질러 이르되 다윗의 자손이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하더니
-길에서 고쳐주심. 고침받고 떠나감.고친것을 알리지 마라고 예수께서 당부하심(맹인의 불순종)
-20장의 사건과 다른 사람.
결론:
[마태의 무의식중의 말버릇으로 배우는 교훈]
세리의 특징을 살려 기독교인의 경제관념을 말버릇으로 보여줌. 쌍둥이인 배경을 잘 살려서 유명하지 않은 신자에 관심을 가짐
댓글
댓글 쓰기